통합검색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암등록이해

  • 암등록이란
  • 암등록역사
  • 암등록사업
    • 암등록종류
    • 국가암등록사업
  • 국제종양분류
    • 역사적 배경
    • ICD-10과 비교
    • ICD-O-3
  • 암등록대상
    • 대상 및 원칙
    • 자료원
  • 항목별지침
    • 초진일
    • 진단경로
    • 원발부위
    • 편측성
    • 조직학적진단명
    • 분화도
    • 진단방법
    • 치료
    • 전위부위

조직학적진단명

암등록지침 중 조직학적진단명 항목에 대해 상세하게 안내합니다.

home > 암등록이해 > 항목별지침 > 조직학적진단명

조직학적진단명

Malignant neoplasm

주요규칙

복잡한 조직학적진단명

조직학적 진단명코드는 암등록에서 원발부위코드(Topography)와 함께 아주 기본적이고 중요한 항목이다. 이는 신생물을 구성하는 세포의 유형과 생물학적 활동을 나타낸다.

조직학적 진단코드 구성과 등록

코드구성은 4자리의 조직소견과 1자리 행태코드 ‘□□□□/□’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조직학적 진단명 코드 또한 2003년부터 ICD-O-3에 따라 등록한다. 정확한 코딩을 위해서 ICD-O-3의 코드색인과 알파벳 색인을 적극 이용하여야 한다. 기존의 ICD-O-3에서 찾을 수 없는 새로운 조직결과가 발생하는 경우, 중앙암등록본부로 질의 후 응답을 받아 전체 등록병원이 표준화된 코드를 사용하도록 한다.

행태코드(Behavior code)

행태코드는 종양의 행동양상을 뜻하며 악성정도를 나타낸다.

<표 1>은 종양의 행동범위에 따른 행태코드 분류이다.

표 1. 종양의 행태

표 1. 종양의 행태
코드 형태
/0 양성(benign)
/1 양성인지 악성인지 불명확(uncertain whether benign or malignant)
경계형 악성(borderline malignancy)
낮은 악성 잠재성(low malignancy potential)
불확실한 악성 잠재성(Uncertain malignant potential)
/2 제자리(Carcinoma in situ)
상피내(Intraepithelial)
비침윤성(Noninfiltrating)
비침습성(Noninvasive)
/3 악성, 원발부위(Malignant, primary site)
/6 악성, 전이부위(Malignant, metastatic site)
악성, 속발부위 (Malignant,secondary site)
/9 악성, 원발부위 또는 속발부위 여부가 불확실한
(Malignant, uncertain whether primary or metastatic site)

* 암등록통계사업에서는 뇌종양은 행태코드 /0, /1, /2, /3을 등록하고 그 외 모든 암종에서는 행태코드 /2 와 /3만을 등록한다

제자리 암종(Carcinoma in situ)

대부분의 암등록본부는 어느 부위에서든 발생한 제자리 암종을 기록한다. 우리나라 여성들에게 흔한 자궁경부암은 조기진단이 용이하여 침윤성 자궁경부암 이전의 단계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흔하다. 중앙암등록본부에서는 행태코드가 /2인 carcinoma in situ를 등록하도록 하고 있다.
병리의사에 따라 서로 다른 PAP smear 분류시스템을 이용하여 결과지에 기술할 수 있으므로 carcinoma in situ와 동일하게 간주할 수 있는 용어를 알아두어야 한다. 여기에서 CIS, CIN Ⅲ, High-grade SIL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고 간주되며 세포학 결과지에 이러한 소견을 가진 환자는 등록해야 한다. Vagina와 Vulva의 경우에도 위와 마찬가지로 VAIN Ⅲ와 VIN Ⅲ를 등록한다. 병리결과지에는 두개 이상의 분류시스템 용어가 기술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상세히 검토하여야 한다.

표 2. PAP smear 분류시스템 비교

PAP smear 분류시스템 비교
Class Dysplasia CIN The Bethesda System(TBS)
Benign Benign Normal
Benign with inflammation Benign with inflammation Normal
Mild dysplasia CINⅠ Low-grade SIL
Moderate dysplasia CIN II High-grade SIL
Severe dysplasia CINⅢ
Carcinoma in situ (CIS)
Invasive carcinoma Invasive carcinoma Invasive carcinoma
  • ㆍCIN :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 ㆍSIL :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
  • ※ 음영처리된 부분 : 등록대상
  • ※ 대한병리학회는 1998년부터 TBS 분류를 따름